• Home
  • Registration
  •  
  • Find ID / Password
  •  
  • Site-Map
  • ID 
  • PW  
  •   
투고논문샘플
파일다운로드
샘플(국문)
샘플(영문)

연구검색

분류6

접수중

여행의 진정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review of travel and authenticity

저자 : 변찬복

본고는 관광학에서 논의 되고 있는 진정성이라는 주제가 그 철학적 의미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진정성의 철학적 고찰을 통해 여행의 진정성 개념의 틀을 정립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갖고 있다. 저자는 진정성의 철학 담론을 전개하기 위해 근대적 주체, 참 자아, 그리고 사회적 에토스를 세 꼭지로 하여 이들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를 근거로 진정성이라는 파토스를 구체화하려고 시도하였다. 먼저 여행의 진정성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사회의 지배적 사회적 에토스가 어떠한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현대세계의 일상성과 허위성에 관한 사회 철학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부어스틴의 이미지 사회. 기 드보르의 스펙타클,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의 시사점은 상품 이미지와 환상, 그리고 파생 실제와 자본에 대한 종교적 환영이 현대인들의 삶을 지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를 부정하고 은폐하려는 자기기만을 적극적으로 구사한다는 사실이다. 진정성의 철학에서 테일러는 일상성의 부정적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에게 진실한 자아’라는 이상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갖춰야 할 의미지평, 즉 도덕적 틀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의 비본래성에서 본래성, 아도르노의 동일자에서 비동일자로, 푸코의 자기보존에서 자기배려로의 이행이 진정성 철학의 주요내용으로 나타났다. 다만 니체의 진정성은 대극적인 요인들과의 투쟁과 고통을 통한 자기극복, 혹은 ‘힘에의 의지’(Will to Power)라는 파토스로 나타났다. 진정성 철학의 공통점은 진정성 가까이 갈 수 있는 통로로 미학적 경험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하이데거의 진리의 일어남,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푸코의 존재의 미학, 니체의 비극과 디오니소스적 사유가 그것이다. 이는 여행대상에 대한 미적 태도가 여행자의 진정성 경험을 촉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진정성 철학은 여행을 떠나기 전 일상생활을 대하는 정향성과 여행의 동기, 여행과정에 있어서 목적지와 경험의 형태, 일상생활로의 귀환, 여행경험의 회상과 기록, 그리고 귀환 후에 일상생활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 여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진정성의 철학적 담론으로부터 진정성추구 여행의 모티브를 발견할 수 있다. 여행에 관한 핵심적인 모티브로는 현대세계의 일상성에 대한 비판적 시선, 존재론적 물음으로 여행을 개시한다는 것, 여행과정에서의 미적 태도와 미적 경험, 존재양식의 변화, 진정성 경험에 대한 표현방식을 들 수 있다.


핵심용어: 진정성, 미적경험, 미메시스, 의미 지평, 스펙터클, 시뮬라시옹, 자기배려, 힘에의 의지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확장자는pdf17.pdf

등록자변찬복

등록일2017-10-31

조회수847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주제발행일
1925
제 29권 8호 [통권:128호] 1번 논문
2020년 12월
1924
제 29권 7호 [통권:127호] 28번 논문
2020년 10월
1923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7번 논문
2020년 10월
1922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6번 논문
2020년 10월
1921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5번 논문
2020년 10월
1920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4번 논문
2020년 10월
1919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3번 논문
2020년 10월
1918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2번 논문
2020년 10월
1917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1번 논문
2020년 10월
1916
제 29권 7호 [통권:127호] 10번 논문
2020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