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근무현장에서 객실승무원들의 안전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안전의식은 어느 정도의 수준일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Campbell(1977)의 심리적 지표를 바탕으로, 조직 환경에서 안전문화의 여러 요인들 중 어떤 요인들이 심리적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 객실 승무원의 직업소명의식이 안전문화 인식과 심리적 조직유효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어떤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규명하여 이론적 토대와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현직에 있는 총 355명의 국내 항공객실승무원의 온라인 설문을 통한 응답을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안전문화는 심리적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그러나 객실승무원이 인식하는 안전문화 중 보고문화와 공정문화는 심리적 조직유효성 중 조직몰입에 영향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공객실승무원의 직무만족은 조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검증을 통해 객실 승무원의 안전문화 인식이 심리적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직업소명의 식의 하위요인 중 ‘업무에 대한 자신의 동일화’의 조절효과가 가장 컸으며, ‘초월적 내적반응’, ‘가치와 의미 중심의 업무행동’의 순으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항공객실승무원의 직업소명의식 함양과 안 전문화 활성화를 위해 일회성이 아닌 정기적 안전문화 진단이 이루어지되, 각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조직별 진단이 이루어지고 안전문화진단결과의 전사적 보고와 안전문화 개선방안에 대한 전사적 아이디어 공모와 워크숍, FGI(focus group interview)등을 통하여 현장의 소리 경청을 제안하였다.
핵심용어: 안전문화 인식, 심리적 조직유효성, 직무만족, 조직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