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Registration
  •  
  • Find ID / Password
  •  
  • Site-Map
  • ID 
  • PW  
  •   
투고논문샘플
파일다운로드
샘플(국문)
샘플(영문)

연구검색

경기침체기의 호텔 객실수익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저자 : 허진숙[shehur],이정자[jungja]

초록내용
경영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호텔산업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라는 경제상황에서 긍정적 경영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호텔기업의 주요 수익 창출 부서인 객실부문의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
여 경기침체라는 위기 상황에서 호텔기업 수익 향상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침체기인 2008년과 2009년의 기간 동안 서울지역에 위치한 18개의 특1등급호텔과, 14개의 특2등
급호텔, 28개의 1등급호텔, 총 60개 호텔을 대상으로 하여 RevPAR로 측정한 객실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한 결과 ADR과 객실점유율이 객실수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특급호텔의 경우는 ADR이 객실점
유율보다 객실수익에 약 3배의 영향을 미치므로 경기침체기에서는 객실가격을 상향 조정하여 객실수익의 제고를
도모할 수 있다. 1등급 호텔의 경우는 객실점유율이 ADR보다 객실수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가격인하를 통하
여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등급호텔은 영업기간이 객실수익에 (-)의 영향을 미치므로 신규호텔일
수록 객실수익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리모델링 등으로 물리적 진부화를 지연시켜 항상 새
로운 이미지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영형태에 따른 객실수익 영향요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호황기와의 비교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결과 규모가 객실수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밝혔고
등급에 상관없이 ADR이 객실점유율보다 객실수익에 더 강한 영향력이 있음을 밝혔다. 호황기와의 비교분석결과를
통해 경기침체기의 시장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알맞은 객실 수익 제고 정책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호텔로 지역을 통제하고 도심의 상용호텔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던 바 지리적
한계와 입지의 제한을 축소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핵심용어 : 경기침체, 규모, ADR, 객실점유율, 호텔등급, 경영형태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확장자는pdf20101209.pdf

등록자허진숙[shehur],이정자[jungja]

등록일2011-01-06

조회수1,864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주제발행일
2193
제 33권 2호 [통권:152호] 7번 논문
2024년 4월
2192
제 33권 2호 [통권:152호] 6번 논문
2024년 4월
2191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5번 논문
2024년 4월
2190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4번 논문
2024년 4월
2189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3번 논문
2024년 4월
2188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2번 논문
2024년 4월
2187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1번 논문
2024년 4월
2186
제 33권 01호 [통권:151호] 01번 논문
2024년 2월
2185
제 33권 01호 [통권:151호] 02번 논문
2024년 2월
2184
제 33권 01호 [통권:151호] 03번 논문
2024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