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베이비부머 세대를 중심으로 이들의 여가활동이 우울증과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규명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아울러 점차적으로 베이비부
머 세대의 은퇴가 증대됨에 따라 이들을 위한 사회적 대응방안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있다. 근래에 오면서 한국의 베이비부머 세대는 2010년대부터 정년퇴직 연령대에 도래되었고, 저출
산과 고령화 현상에 직접적인 대응을 해야 할 매우 중대한 시점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육체적 여가활동과 정신적 여가활동은 이들의 우울증 극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여가활동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
부머 세대의 육체적 여가활동과 정신적 여가활동은 이들의 노후생활에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여가활동은 육제적 여가활동과 정신적 여가활동에 비하여 베이비
부머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성별 및 연령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또한 소득 대비 지출정도에 따라 이들이
지각하게 되는 우울의 정도 및 성공적 노화 인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및 농촌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성별, 소득대비 여
가활동 지출정도에 따른 개인별 특성을 반영하여 후속연구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핵심용어 : 베이비부머 세대, 여가활동, 우울증, 성공적 노화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규명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아울러 점차적으로 베이비부
머 세대의 은퇴가 증대됨에 따라 이들을 위한 사회적 대응방안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있다. 근래에 오면서 한국의 베이비부머 세대는 2010년대부터 정년퇴직 연령대에 도래되었고, 저출
산과 고령화 현상에 직접적인 대응을 해야 할 매우 중대한 시점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육체적 여가활동과 정신적 여가활동은 이들의 우울증 극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여가활동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
부머 세대의 육체적 여가활동과 정신적 여가활동은 이들의 노후생활에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여가활동은 육제적 여가활동과 정신적 여가활동에 비하여 베이비
부머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성별 및 연령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또한 소득 대비 지출정도에 따라 이들이
지각하게 되는 우울의 정도 및 성공적 노화 인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및 농촌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성별, 소득대비 여
가활동 지출정도에 따른 개인별 특성을 반영하여 후속연구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핵심용어 : 베이비부머 세대, 여가활동, 우울증, 성공적 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