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식업체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직무성과의 조
절역할을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과제를 두었다. 첫째,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 요인을 분
석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둘째, 비정규직 종사원의 직무성과가 감정노동과 이직
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외식업체에서 근로하
는 비정규직 종사원을 대상으로, 300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27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
구결과는 첫째, 외식업체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 요인은 심층행위, 표면행위 2요인으로 분석되
었다. 둘째, 외식업체 비정규직 종사원의 심층행위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
째, 비정규직 종사원의 표면행위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직무성과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는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자
기만족, 업무성과를 통한 조직에서의 장기적 성장기회보다는 짧은 기간 동안의 근로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이유인 때문으로 보이기에, 비정규직 종사원의 근로목적을 명확히 한 직원채용 과
정을 수립하여, 정규직을 대체하는 비정규직원과 단순 업무를 목적으로 하는 비정규직원을 구분 채용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업태 비정규직 종사원들만을 대상
으로 하는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절역할을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과제를 두었다. 첫째,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 요인을 분
석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둘째, 비정규직 종사원의 직무성과가 감정노동과 이직
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외식업체에서 근로하
는 비정규직 종사원을 대상으로, 300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27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
구결과는 첫째, 외식업체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 요인은 심층행위, 표면행위 2요인으로 분석되
었다. 둘째, 외식업체 비정규직 종사원의 심층행위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
째, 비정규직 종사원의 표면행위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직무성과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는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자
기만족, 업무성과를 통한 조직에서의 장기적 성장기회보다는 짧은 기간 동안의 근로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이유인 때문으로 보이기에, 비정규직 종사원의 근로목적을 명확히 한 직원채용 과
정을 수립하여, 정규직을 대체하는 비정규직원과 단순 업무를 목적으로 하는 비정규직원을 구분 채용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업태 비정규직 종사원들만을 대상
으로 하는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