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Registration
  •  
  • Find ID / Password
  •  
  • Site-Map
  • ID 
  • PW  
  •   
투고논문샘플
파일다운로드
샘플(국문)
샘플(영문)

연구검색

분류6

접수중

외식사업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Job Burnout

저자 : 손일락

이 연구는 외식사업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조직의 성과로 연결되는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을 목표로 하였다. 청주지역 외식사업체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종사원 3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 9일부터 3월 30일까지 22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87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도출된 요인 간 연관성 측정을 위한 상관관계 분석 및 두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심층행위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관계를, 심층행위는 직무소진에 부(-)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표면행위에 대해서는 모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심층행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상사지원은 직무만족과 직무소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동료지원은 직무소진에만 조절효과를 보였다. 서비스조직이 비정규직 종사원의 고용을 통하여 고객의 서비스 만족을 실현하고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려면 기업 차원의 만족프로그램 구축과 비정규직 종사원 지원프로그램의 구비가 선결과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확장자는pdf2.pdf

등록자손일락

등록일2016-11-01

조회수72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주제발행일
2193
제 33권 2호 [통권:152호] 7번 논문
2024년 4월
2192
제 33권 2호 [통권:152호] 6번 논문
2024년 4월
2191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5번 논문
2024년 4월
2190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4번 논문
2024년 4월
2189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3번 논문
2024년 4월
2188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2번 논문
2024년 4월
2187
제 33권 02호 [통권:152호] 1번 논문
2024년 4월
2186
제 33권 01호 [통권:151호] 01번 논문
2024년 2월
2185
제 33권 01호 [통권:151호] 02번 논문
2024년 2월
2184
제 33권 01호 [통권:151호] 03번 논문
2024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