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푸드코트에 전시된 음식모형의 속성이 소비자의 감정반응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행동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음식모형이 전시된 서울소재 이마트 입점 푸드쿠
트 7개소를 대상으로 2011년 9월 15일부터 30일까지 각 푸드코트에 50부씩 총 3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설문태
도가 불성실한 15부를 제외한 335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음식모형 속성 중 시각적 이미지와 음식특성이 감정반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
으며 장식적 효과와 메뉴비교는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가설2의 검증결과 음식모형 속성 중 메뉴비교가 가장 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 장식적
효과, 음식특성, 시각적 이미지 등의 순으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음식모형 속성을 통해 형성된 감정반응과 태도는 간에는 유의한 정(+)의 관련성이 입증되었으며 감정반응
과 태도 역시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푸드코트에서는 음식모형이 소비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마케팅 도구
이자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 토대가 된다.
핵심용어 : 음식모형, 감정반응, 태도, 행동의도
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행동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음식모형이 전시된 서울소재 이마트 입점 푸드쿠
트 7개소를 대상으로 2011년 9월 15일부터 30일까지 각 푸드코트에 50부씩 총 3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설문태
도가 불성실한 15부를 제외한 335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음식모형 속성 중 시각적 이미지와 음식특성이 감정반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
으며 장식적 효과와 메뉴비교는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가설2의 검증결과 음식모형 속성 중 메뉴비교가 가장 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 장식적
효과, 음식특성, 시각적 이미지 등의 순으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음식모형 속성을 통해 형성된 감정반응과 태도는 간에는 유의한 정(+)의 관련성이 입증되었으며 감정반응
과 태도 역시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푸드코트에서는 음식모형이 소비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마케팅 도구
이자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 토대가 된다.
핵심용어 : 음식모형, 감정반응, 태도, 행동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