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와인 바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와인 바에서 제공하는 관계효익과 고객만족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관계효익의 어떠한 요인이 고객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관계 기간
과 방문빈도에 따라 고객이 지각하는 관계효익과 고객만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관계 기간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한 관계효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와인 바를 경영하는 경영자와 마케터 및 소믈리에들에게 효율적
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Win. Ver. 12.0 통
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효익(심리적효익, 사회적 ․ 고객화효익, 경제적효익)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관계효익 변수별로는 심리적효익, 사회적 ․ 고객화효익, 경제적효익의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기간 ․ 방문빈도’에 따라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 ‘장기간 ․ 다수방문 집단’, ‘장기간 ․ 소수방문
집단’, ‘단기간 ․ 소수방문 집단’의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집단 별 관계효익의 지각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이 ‘장기간 ․ 소수방문 집단’보다 사
회적 ․ 고객화효익을 더 많이 지각하고 있었다. 심리적효익의 경우,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이 ‘장기간 ․ 소수
방문 집단’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심리적효익에 있어서는 관계기간보다 방문빈도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경제적효익의 경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과 ‘장기간 ․ 다수방문 집단’은 평균값이 4.0이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의 만족도 비교에 있어서 관계기간과는 상관없이 방문의
빈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와인 바에서의 관계효익 변수중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변수인 심리적효익의 제공을 위해
직원 교육을 통한 와인에 대한 전문성을 키우고, 관계기간과 방문빈도에 따른 고객 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관계효
익 전략을 펼쳐야 할 것이다.
핵심용어 : 관계효익, 고객만족, 관계기간, 방문빈도, 와인 바
관계를 규명하고, 관계효익의 어떠한 요인이 고객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관계 기간
과 방문빈도에 따라 고객이 지각하는 관계효익과 고객만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관계 기간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한 관계효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와인 바를 경영하는 경영자와 마케터 및 소믈리에들에게 효율적
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Win. Ver. 12.0 통
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효익(심리적효익, 사회적 ․ 고객화효익, 경제적효익)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관계효익 변수별로는 심리적효익, 사회적 ․ 고객화효익, 경제적효익의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기간 ․ 방문빈도’에 따라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 ‘장기간 ․ 다수방문 집단’, ‘장기간 ․ 소수방문
집단’, ‘단기간 ․ 소수방문 집단’의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집단 별 관계효익의 지각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이 ‘장기간 ․ 소수방문 집단’보다 사
회적 ․ 고객화효익을 더 많이 지각하고 있었다. 심리적효익의 경우,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이 ‘장기간 ․ 소수
방문 집단’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심리적효익에 있어서는 관계기간보다 방문빈도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경제적효익의 경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기간 ․
다수방문 집단’과 ‘장기간 ․ 다수방문 집단’은 평균값이 4.0이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의 만족도 비교에 있어서 관계기간과는 상관없이 방문의
빈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와인 바에서의 관계효익 변수중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변수인 심리적효익의 제공을 위해
직원 교육을 통한 와인에 대한 전문성을 키우고, 관계기간과 방문빈도에 따른 고객 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관계효
익 전략을 펼쳐야 할 것이다.
핵심용어 : 관계효익, 고객만족, 관계기간, 방문빈도, 와인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