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여행자들의 심미적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울도심을 배경으로 하는 염상
섭 소설 중 서울도심을 상세하게 형성화한 <삼대>를 대상으로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학여행
콘텐츠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삼대>의 서사를 분석하여 1930년대 경성이라는 공간이 작
품에 어떻게 표상되었는지를 조사하고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사색이 일어난 거리, 가옥, 전차, 카페,
공공건물들의 옛 사진과 아카이브를 수집하였다. 공간서사의 분석 결과 등장인물들이 활동이 나타나
는 주요 장소는 수하동의 조덕기의 가옥, 진고개의 바커스 주점과 북창동의 경애의 집, 그리고 홍파
동에 위치한 필순의 집, 그리고 효자동의 산해진 임을 알 수 있었다. 장편소설을 모바일 앱으로 만드
는 과정에서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장편소설 <삼대>의 내용을
11개의 시퀀스(sequence)로 분류하였다. 본고의 실천적 시사점은 작품 속에 실제적인 지명과 건축물
들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근대소설이라면 어떤 소설도 모바일 앱 개발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미 수집된 옛 사진과 요즈음 개발된 3D 아카이브, 그리고 그림제작이 모바일 앱 콘텐츠를
제작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실제로 개발된 모바일 앱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
은 본고의 한계점이다.
섭 소설 중 서울도심을 상세하게 형성화한 <삼대>를 대상으로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학여행
콘텐츠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삼대>의 서사를 분석하여 1930년대 경성이라는 공간이 작
품에 어떻게 표상되었는지를 조사하고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사색이 일어난 거리, 가옥, 전차, 카페,
공공건물들의 옛 사진과 아카이브를 수집하였다. 공간서사의 분석 결과 등장인물들이 활동이 나타나
는 주요 장소는 수하동의 조덕기의 가옥, 진고개의 바커스 주점과 북창동의 경애의 집, 그리고 홍파
동에 위치한 필순의 집, 그리고 효자동의 산해진 임을 알 수 있었다. 장편소설을 모바일 앱으로 만드
는 과정에서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장편소설 <삼대>의 내용을
11개의 시퀀스(sequence)로 분류하였다. 본고의 실천적 시사점은 작품 속에 실제적인 지명과 건축물
들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근대소설이라면 어떤 소설도 모바일 앱 개발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미 수집된 옛 사진과 요즈음 개발된 3D 아카이브, 그리고 그림제작이 모바일 앱 콘텐츠를
제작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실제로 개발된 모바일 앱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
은 본고의 한계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