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업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취
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교육 운영에 대한 실천적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연구결
과 직업존중감의 하위 구성요소인 사회적 평판 요인과 사회적 효익 요인이 취업준비행동에 일부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 구성요소 중 진로탐색 요인만이 취업준
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직업존중감이 예비적 취업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일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타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생들의 심각한 취업난이 사회문제가 된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도 학생들의 진로와
직업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며, 인턴십・현장실습 등 직업을 사전에
체험할 수 있는 적극적인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산학협력을 강화해 취업 교육이 채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핵심용어 : 직업존중감,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사회적지지
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교육 운영에 대한 실천적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연구결
과 직업존중감의 하위 구성요소인 사회적 평판 요인과 사회적 효익 요인이 취업준비행동에 일부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 구성요소 중 진로탐색 요인만이 취업준
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직업존중감이 예비적 취업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일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타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생들의 심각한 취업난이 사회문제가 된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도 학생들의 진로와
직업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며, 인턴십・현장실습 등 직업을 사전에
체험할 수 있는 적극적인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산학협력을 강화해 취업 교육이 채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핵심용어 : 직업존중감,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사회적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