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된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한 스마트폰 사용자의 외식정보서비스가 사용자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밝히는데 있다. 설문은 2012년 8월 1부터 8월 31일 까지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326부 중 255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품질요인과 시스템품질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에 정
(+)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둘째, 혁신성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 요인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지만,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에는 아무
런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영향요인은 사용의도에는 정(+)의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지각된 유
용성에는 아무런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핵심용어 : 스마트폰 외식정보서비스,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혁신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영향,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밝히는데 있다. 설문은 2012년 8월 1부터 8월 31일 까지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326부 중 255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품질요인과 시스템품질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에 정
(+)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둘째, 혁신성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 요인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지만,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에는 아무
런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영향요인은 사용의도에는 정(+)의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지각된 유
용성에는 아무런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핵심용어 : 스마트폰 외식정보서비스,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혁신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영향,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