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먼저 축제 참가자의 만족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축제참가 후의 긍정적인 감정과 부
정적인 감정을 선행변인으로 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이들 요인 간 영향관계에서 자기조절성이
조절기능을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북 영덕대게축제장을 방문한 관광객 393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지에 의해 수집되었다. 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와 AMOS 18.0(ver.)을 이용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
뢰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참가 후 긍정적 감정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부정적인 감정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축제 참가 후 긍정적
인 감정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부정적인 감정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전반적 만족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축
제참가 후의 긍정적 감정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결정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고, 축제참가 후의 부정적 감정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기 결정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자기결정성에 대한 이론을 공고히 하고, 실무적 측면에서는 지역축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핵심용어 : 긍정감정, 부정감정, 만족, 행동의도, 자기결정성
정적인 감정을 선행변인으로 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이들 요인 간 영향관계에서 자기조절성이
조절기능을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북 영덕대게축제장을 방문한 관광객 393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지에 의해 수집되었다. 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와 AMOS 18.0(ver.)을 이용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
뢰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참가 후 긍정적 감정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부정적인 감정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축제 참가 후 긍정적
인 감정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부정적인 감정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전반적 만족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축
제참가 후의 긍정적 감정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결정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고, 축제참가 후의 부정적 감정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기 결정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자기결정성에 대한 이론을 공고히 하고, 실무적 측면에서는 지역축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핵심용어 : 긍정감정, 부정감정, 만족, 행동의도, 자기결정성